우리학교 의과학대학원(원장 유욱준)은 지난 22일(화) 교내 의과학연구센터에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윤주헌)과 의과학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포괄적 협력 교류 협약서’를 체결했다.
양 기관의 의과학 연구의 활성화와 기초 및 중개 의과학 분야의 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상호 협력 및 교류를 목적으로 체결된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협력위원회를 설치하고 공동 연구, 인력 양성, 인적 교류, 학술 및 기술정보 교류, 공동 세미나 및 심포지엄 개최 등 다양한 협력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대표자들은 협약식 체결에 앞서 축사를 통해 “본 협약은 유명무실하고 형식적인 협약이 아닌, 실질적이고 실제적인 협약으로, 향후 KAIST 의과학대학원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이 함께 세계적 의과학 연구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것”이라는 뜻을 전달했다.
이번 협약의 세부적인 실행 방안 및 협력 사업의 구체적 내용은 추후 설치될 협력위원회를 통해서 논의되고 실행될 예정이다.
우리 대학이 31일 의과학연구센터(E7) 하자홀에서 '바이오 의료사업 발전을 위한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 토론회'를 개최했다. 과학, 공학, 의학을 이해하는 의사과학자 양성은 글로벌 바이오 중심국가 도약을 위한 해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의대 졸업생 중 의사과학자는 1% 미만으로 바이오 의료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의사과학자 양성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의과학대학원이 주최하는 이번 토론회는 미국의 의사과학자 양성 시스템과 국가 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의사과학자 양성 시스템의 선결 과제 및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위해 세계적인 연구중심 의과대학인 미국 하버드 의대의 의사과학자 양성과정인 HST(Health Sciences and Technology) 프로그램의 디렉터 볼프람 고슬링(Wolfram Goessling) 교수와 스탠퍼드 의대 김성국 교수가 발제를 맡았다. 고슬링 교수는 '하버드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간의 의사
2023-10-31〈 심남석 연구원 〉 우리 대학 의과학대학원 심남석 박사과정(지도교수 : 이정호 교수), 연세대학교 의료원(의료원장 윤도흠)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신경외과 김동석 교수, 소아신경과 강훈철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난치성 뇌전증의 원인 돌연변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법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초 과학 분야와 임상 진료 영역 간 차이로 환자에게 쉽게 적용하지 못했던 난치성 뇌전증 원인 유전자 진단을 실제 임상 영역에서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심남석 박사과정이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뇌병리 분야 국제 학술지 ‘악타 뉴로패쏠로지카 (Acta Neuropathologica)’ 8월 3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 Precise detection of low-level somatic mutation in resected epilepsy
2019-08-13〈 주영석 교수 〉 우리 대학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신찬수) 흉부외과 김영태 교수 공동 연구팀이 폐암을 일으키는 융합유전자 유전체 돌연변이의 생성 원리를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흡연과 무관한 환경에서도 융합유전자로 인해 폐 선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것으로,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 원인 규명과 더불어 정밀치료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대학 출신 이준구 박사(現 하버드 의과대학 박사후연구원)와 박성열 박사과정이 공동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셀(Cell)’ 5월 30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 Tracing Oncogene Rearrangements in the Mutational History of Lung Adenocarcinoma) 또한, 이번 연구에는 하버드 의과대학,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립암센터 연구자들도 함께 참여했다.
2019-06-03우리 대학 의과학대학원 김호민 교수와 연세대학교 윤태영 교수 공동 연구팀이 우리 몸이 패혈증의 원인 물질인 박테리아 내독소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전달하는지 규명했다. 이를 통해 박테리아 내독소가 생체 내 단백질로 전달되는 분자 원리를 밝혀냄으로써 내독소가 전달되는 길목을 차단해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다. 패혈증은 감염에 의해서 과도하게 활성화된 면역반응에 따른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이다. 이 연구는 면역학 분야 국제 학술지이며, 셀(Cell) 자매지인‘이뮤니티 (Immunity)’12월 13일자에 게재되었다. 그람 음성균 세포외막에 존재하는 내독소는 생체 내 단백질을 통해 면역세포 표면의 세포수용체로 전달돼 선천성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감염에 의한 혈액 내 내독소 다량 유입은 고열, 혈압저하, 장기손상 등 과도한 염증반응의 결과인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내독소 인식 및 전달 관련 구체적인 분자 원리가 밝혀져 있
2016-12-27〈 송 지 준 교수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헌팅턴씨 퇴행성 뇌질환 원인 단백질 구조를 규명하고 병을 일으키는 기작을 규명하였다. 하버드 의과대학 성인식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뤄진 이번 논문은(논문명: Huntingtin's spherical solenoid structure enables polyglutamine tract-dependent modulation of its structure and function) ‘eLife’ 저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헌팅턴씨병의 원인인 단백질 3차원 구조와 단백질 구조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을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독일(막스 플랑크 인스티튜트), 미국(하워드 휴지스 메디컬 인스티튜트), 영국(웰컴 트러스트) 등 3개국이 공동으로 발간하는 분자생물학 분야 학술지인‘이라이프(eLife)’저널에 3월 22일에 게재되었다. 헌팅턴씨병은 헌팅틴(Huntingtin)이라는 단백질 아미노터미널 부분에
2016-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