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빛 소용돌이의 역학적 제어 구현​
조회수 : 5232 등록일 : 2022-10-13 작성자 : 홍보실

(왼쪽부터) 물리학과 김동하 박사, Arthur Baucour 연구원, 최윤석 박사, 신소재공학과 신종화 교수, 물리학과 서민교 교수

< (왼쪽부터) 물리학과 김동하 박사, Arthur Baucour 연구원, 최윤석 박사, 신소재공학과 신종화 교수, 물리학과 서민교 교수 >

우리 대학 물리학과 서민교 교수, 김동하 박사, 신소재공학과 신종화 교수 공동연구팀이 자기장에 의해 자발적으로 생성되고 동역학적 움직임을 보이는 빛 소용돌이(optical vortex)를 구현했다고 13일 밝혔다. 

빛 소용돌이는 전기장의 위상 분포의 공간적인 꼬임으로서, 기초 물리량중 하나인 궤도 각운동량을 전자기파에 싣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기파의 궤도 각운동량은 고전적 또는 양자화된 회전 특성을 광학 기술에 도입할 수 있기에, 광 집게, 초고해상도 현미경, 고차원 광통신, 양자 얽힘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으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기존의 빛 소용돌이/궤도 각운동량 생성은 나선형의 구조적 특이점을 갖는 소자를 통해서만 구현되어 왔기에, 역학적 변화를 가할 수 없는 수동적 형태로서만 활용되어 왔다. 

연구팀은 구조적 특이점 없이도 빛 소용돌이가 자발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플랫폼을 다층 박막 구조를 통해 구현하였다. 이 플랫폼은 반사율이 이상적으로 0이 되는 수학적 특이점을 가지는 위상학적 상()을 실 공간에 만들어 내며, 특이점을 중심으로 빛 소용돌이가 나타난다. 

다층 박막 구조내의 자기 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위상학적 상의 생성과 소멸이 외부 자기장에 의해 제어된다. 나아가, 빛 소용돌이들이 외부 자기장 하에서 위상전하에 따라 다른 양상의 움직임들을 보이거나 빛 소용돌이-()소용돌이 쌍이 생성되는 등의 준입자적 (quasiparticle) 양상을 관측했다.

그림 1. 위상학적 다층 박막 구조의 작동 원리 모식도: 니켈층의 두께에 따라 빛 소용돌이가 발생할 수 있는 위상학적 특이 (non-trivial topology) 상과 사라지게 되는 위상학적 비특이 (trivial topology) 상이 결정된다.

< 그림 1. 위상학적 다층 박막 구조의 작동 원리 모식도: 니켈층의 두께에 따라 빛 소용돌이가 발생할 수 있는 위상학적 특이 (non-trivial topology) 상과 사라지게 되는 위상학적 비특이 (trivial topology) 상이 결정된다. >

연구팀이 개발한 플랫폼은 구성 물질에 따라 전기장이나 열에 의한 구동도 가능하며, 제작 방식의 단순화로 인해 여러 다양한 능동적 위상 광학 소자 개발 및 빛 소용돌이 생성 소자의 개발이 기대된다. 

서민교 교수는 "자발적 생성 및 역학적 움직임을 보이는 등의 준입자적 양상을 가지는 빛 소용돌이가 구현될 수 있음을 보였다. 광학 시스템내의 다양한 위상학적 전자기장 텍스처와 그들의 준입자적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시작점이 될 것이 기대된다.ˮ라고 말했다. 

김동하 박사가 제1 저자이자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Nature)' 1013일 온라인 판본에 출판됐다. (논문명 : Spontaneous generation and active manipulation of real-space optical vortices).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 기초연구실,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뉴스
  • No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