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그린수소 생산에 탁월한 전해질 신소재 개발​
조회수 : 4287 등록일 : 2023-11-22 작성자 : 홍보실

(왼쪽부터)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메릴랜드 대학 에릭 왁스만 교수, 우리 대학 유형민 박사과정, 정인철 박사, 장승수 박사과정

< (왼쪽부터)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메릴랜드 대학 에릭 왁스만 교수, 우리 대학 유형민 박사과정, 정인철 박사, 장승수 박사과정 >

그린수소는 풍력, 태양광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궁극적인 청정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그린수소를 활용/생산하는 연료전지, 수전해 전지, 촉매 분야에 산소 이온성 고체전해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소 이온 전도체들은 주로 700oC 이상의 고온에서 활용되는데 이 때문에 소자 내의 다른 요소들과의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반응, 소재 응집, 열충격이 발생하거나 높은 유지비용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미국 메릴랜드 대학 에릭 왁스만(Eric Wachsman)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 소재 대비 전도성이 140배 높은 산소 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 개발에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림 1. 고체산화물 신소재 구조 및 산소이온 전도경로 시뮬레이션 결과

< 그림 1. 고체산화물 신소재 구조 및 산소이온 전도경로 시뮬레이션 결과 >

개발된 신소재는 비스무트 산화물 기반으로 400oC에서 기존 지르코니아 소재의 700oC에 해당하는 높은 전도성을 보이며 중저온(600oC) 영역대에서 140배 이상 높은 이온전도도 나타냈다. 비스무트 산화물 산소 이온 전도체 소재는 중저온 영역대에서 상전이로 인해 이온전도도가 급격하게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산소 이온 전도체 신소재는 도핑을 통해 중저온 영역대에서도 1,000시간 이상 높은 이온전도도를 유지해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또한, 공동연구팀은 원자단위 시뮬레이션 계산화학을 통해 도핑된 원소가 산소 이온 전도체 신소재의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개발된 신소재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에 적용돼 학계에 보고된 소자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전력 생산(2.0 W/cm2, 600oC) 능력을 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고체산화물 전해전지(SOEC)에도 적용돼 기존 대비 2배 높은 단위면적당 15.8 mL/min의 탁월한 그린 수소 생산 능력을 보이며, 해당 신소재의 실제 소자에의 적용 가능성을 증명했다.

그림 2. 고체산화물 신소재 적용 SOFC/SOEC 성능 비교표

< 그림 2. 고체산화물 신소재 적용 SOFC/SOEC 성능 비교표 >

이강택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산소 이온 전도체 신소재는 중저온 영역대에서도 안정적으로 높은 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어 세라믹 소자의 높은 작동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환경 소자 상용화에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연구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림 3. 고체산화물 신소재 적용 SOFC/SOEC 반응면적 삼차원 복원 결과

< 그림 3. 고체산화물 신소재 적용 SOFC/SOEC 반응면적 삼차원 복원 결과 >

기계공학과 유형민 박사과정, 정인철 박사, 장승수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했으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찬우 박사 연구팀이 공동으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국제 학술지인 어드벤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IF : 29.4) 1017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 Lowering the Temperature of Solid Oxide Electrochemical Cells Using Triple-doped Bismuth Oxides).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사업과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