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실내 조명 활용해 최고 수준 이산화질소 감지 가능​
조회수 : 3398 등록일 : 2024-06-10 작성자 : 홍보실

(왼쪽부터)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석좌교수, 박세연 박사, 김민현 박사과정

< (왼쪽부터)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석좌교수, 박세연 박사, 김민현 박사과정 >

우리 연구진이 기존까지 전무했던 녹색빛을 가스 센서에 조사하여 상온에서 최고 수준의 이산화질소 감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녹색광이 50% 이상 포함된 실내조명을 통해서도 작동이 가능한 초고감도 상온 가스 센서를 개발했다.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가시광을 활용해 상온에서도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NO2)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 센서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금속산화물 반도체 기반 저항 변화식 가스 센서는 가스 반응을 위해 300 oC 이상 가열이 필요해 상온 측정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근 금속산화물 기반 광활성 방식 가스 센서가 크게 주목받고 있으나, 기존 연구는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 내지는 근자외선 영역의 빛을 활용하는 데에 그쳤다. 

김일두 교수 연구팀은 이를 녹색 빛을 포함한 가시광 영역으로 확대해 범용성을 크게 높였으며, 녹색광을 조사했을 때 이산화질소 감지 반응성이 기존 대비 52배로 증가하였다. 특히 실내조명에 사용되는 백색광을 조사해 최고 수준의 이산화질소 가스 감지 반응성(0.8 ppm NO2, 감도 = 75.7)을 달성하는 데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가시광선의 흡수가 어려운 인듐 산화물(In2O3) 나노섬유*에 비스무스(Bi) 원소**를 첨가하여 청색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중간 밴드 갭***을 형성시켰고, (Au) 나노입자를 추가적으로 결착하여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통해 가시광 중 가장 풍부한 녹색광 영역에서의 활성도를 극대화했다. 비스무스와 금 나노입자 첨가 효과와 나노섬유가 갖는 넓은 비표면적 특성을 통해 상온에서 이산화질소 반응성을 기존 센서 대비 52(0.4 ppm NO2 감도 기준) 증가시켰다.

*인듐 산화물 나노섬유: 인듐 산화물은 전기 전도 특성을 지닌 금속 산화물로, 이를 전기방사 공정을 통해 나노섬유 형상으로 제작함

**비스무스(Bi) 원소: 원자번호 83번의 원소로, 주기율표에서는 질소(N), (P), 비소(As), 안티모니(Sb)와 함께 15(질소 족)에 속하는 원소

***밴드 갭(Band gap): 전자(electron)가 속박 상태에서 자유롭게 벗어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차를 의미하며 물질의 전기적, 광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 중 하나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LSPR): 빛에 의해 나노입자 표면의 전하 수송체를 들뜬 상태로 만들고 금속산화물로 이동시켜 가스와의 산화-환원 반응을 촉진하는 원리

그림 1. 가시광활성 이산화질소 감지용 금(Au) 나노입자 결착 및 비스무스(Bi)가 도핑된 인듐산화물(Au-BixIn2-xO3) 나노섬유 소재 제작 과정

< 그림 1. 가시광활성 이산화질소 감지용 금(Au) 나노입자 결착 및 비스무스(Bi)가 도핑된 인듐산화물(Au-BixIn2-xO3) 나노섬유 소재 제작 과정 >

이번 연구의 연구책임자인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는 자동차 배기가스 및 공장 매연 등에서 배출되는 대표적인 대기 환경 유해가스인 이산화질소 가스를 우리 주변에서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녹·청색광(430~570 nm) 영역의 가시광을 활용해 상온에서 초고감도로 감지가 가능한 신소재를 개발했다라며 가스 센서의 소비전력 및 집적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향후 실내조명 및 기기와의 결합을 통한 가스 센서의 상용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그림 2. 녹색광, 청색광에서의 광활성 매커니즘과 다양한 가시광 조건에서의 이산화질소(NO2) 감지 결과 및 모식도

< 그림 2. 녹색광, 청색광에서의 광활성 매커니즘과 다양한 가시광 조건에서의 이산화질소(NO2) 감지 결과 및 모식도 >

신소재공학과 졸업생 박세연 박사(펜실베니아 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신소재공학과 김민현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주도한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 국제권위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34일 온라인 공개됐으며 61324호 전면 속표지(Inside Front Cover) 논문으로 발표 예정이다. (논문명 : Dual-Photosensitizer Synergy Empowers Ambient Light Photoactivation of Indium Oxide for High-Performance NO2 Sensing)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 사업,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의 소재부품장비 전략협력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그림 3.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24년도 36권 6월호 전면 속표지 커버(Inside Front Cover) 선정 이미지

< 그림 3.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24년도 36권 6월호 전면 속표지 커버(Inside Front Cover) 선정 이미지 >

관련뉴스
  • No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