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고성능 촉매 개발, 반도체 핫전자 기술을 통해 해결하다​
조회수 : 330 등록일 : 2025-04-01 작성자 : 홍보실

(윗줄 왼쪽부터) 화학과 박정영 교수,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KIST 김동훈 박사, (아랫줄 왼쪽부터) MIT 이규락 박사, 화학과 송경재 박사, KIST 홍두선 박사

< (윗줄 왼쪽부터) 화학과 박정영 교수,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KIST 김동훈 박사, (아랫줄 왼쪽부터) MIT 이규락 박사, 화학과 송경재 박사, KIST 홍두선 박사 >

우리 대학 화학과 박정영 석좌교수,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그리고 KIST 김동훈 박사 공동 연구팀이 반도체 기술을 활용하여 촉매 성능에 특정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대표적인 다경로 화학 반응인 메탄올 산화 반응에서 메틸 포르메이트 선택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이번 연구는 차세대 고성능 이종 촉매 개발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1일 밝혔다. 

다경로 화학 반응에서는 반응성과 선택성의 상충 관계로 인해 특정 생성물의 선택성을 높이는 것이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특히, 메탄올 산화 반응에서는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고부가 가치 생성물인 메틸 포르메이트가 생성되므로, 메틸 포르메이트의 선택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불규칙적인 구조의 이종 촉매에서는 금속-산화물 계면 밀도를 비롯한 여러 변인이 동시에 촉매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정 변수가 개별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KAIST-KIST 공동 연구팀은 균일하게 정렬된 금속산화물 나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기술을 활용하여 이종 촉매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인을 통제하고, 오로지 금속산화물의 물성만이 촉매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산소 공극 (Oxygen Vacancy)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 열처리한 세륨 산화물 (CeOx) 나노 패턴을 제작하고, 이를 백금(Pt) 박막 촉매 위에 전사하여 금속산화물의 산소 공극이 메틸 포르메이트 선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림 1. 반도체 기술을 활용하여 정렬된 세륨 산화물 나노패턴을 제작하고 이를 백금 촉매 위에 전사하여 형성한 새로운 이종 촉매 플랫폼을 나타낸 그림. 이를 통해 세륨 산화물 내부의 산소 공극이 메틸 포르메이트 선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구분 및 규명. 메틸 포르메이트 선택성을 평가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직접적인 검출 방법과 반응 중 생성되는 핫 전자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

< 그림 1. 반도체 기술을 활용하여 정렬된 세륨 산화물 나노패턴을 제작하고 이를 백금 촉매 위에 전사하여 형성한 새로운 이종 촉매 플랫폼을 나타낸 그림. 이를 통해 세륨 산화물 내부의 산소 공극이 메틸 포르메이트 선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구분 및 규명. 메틸 포르메이트 선택성을 평가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직접적인 검출 방법과 반응 중 생성되는 핫 전자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 >

연구 결과, 산소 공극이 가장 풍부하게 생성된 진공 환경에서 열처리한 CeOx-Pt 이종 촉매의 경우, 열처리를 하지 않은 CeO2-Pt 이종 촉매 대비 약 50% 향상된 메틸 포르메이트 선택성을 보였으며, 이는 반응 중 발생하는 핫 전자의 검출을 통해 실시간으로도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팀은 양자역학 기반의 DFT 시뮬레이션을 통해 금속산화물 내부의 산소 공극이 이종 촉매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산소 공극은 금속/산화물 계면에 많은 양의 전자를 축적시키면서 반응 중간체 간 결합을 촉진하였고, 이로 인해 메틸 포르메이트 선택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2. 세륨 산화물 나노선을 백금 박막에 증착시켜 제작한 이종 촉매 플랫폼을 이용한 금속-산화물 계면에서 발생하는 메탄올 산화반응의 생성물 검출.

< 그림 2. 세륨 산화물 나노선을 백금 박막에 증착시켜 제작한 이종 촉매 플랫폼을 이용한 금속-산화물 계면에서 발생하는 메탄올 산화반응의 생성물 검출. >

이에 대해 박정영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반도체기반 플랫폼을 통해 핫전하와 촉매 선택성의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핫전하 기반의 광촉매 센서의 상용화 개발 및 핫전하 기반 광열촉매 시스템의 상용화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는 기존의 무작위 구조를 가진 촉매에서는 특정 변수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반도체 기술을 활용한 이번 연구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이종 촉매 설계와 선택성 조절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림 3. 개발한 이종 촉매 플랫폼에서 세륨 산화물의 열처리 조건 (산소 공극의 농도)에 따른 금속-산화물 계면에서의 전하 이동 활성 증대로 인한 촉매 선택도 및 핫 전자 검출 변화.

< 그림 3. 개발한 이종 촉매 플랫폼에서 세륨 산화물의 열처리 조건 (산소 공극의 농도)에 따른 금속-산화물 계면에서의 전하 이동 활성 증대로 인한 촉매 선택도 및 핫 전자 검출 변화. >

신소재공학과 이규락 박사, 화학과 송경재 박사, KIST 홍두선 박사가 공동 제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Nature Communications)’325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 제목: Unraveling Oxygen Vacancy-Driven Catalytic Selectivity and Hot Electron Generation on Heterointerfaces using Nanostructured Platform)

그림 4. 산화물-금속 박막위의 화학반응 및 핫전자 생성 개념도

< 그림 4. 산화물-금속 박막위의 화학반응 및 핫전자 생성 개념도 >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혁신인재양성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그리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전략기술소재개발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