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가까운 미래에 많은 지역에서 가뭄이 일상화되는 사실 최초 예측​
조회수 : 6744 등록일 : 2022-07-21 작성자 : 홍보실

문술미래전략대학원(건설및환경공학과 겸임) 김형준 교수

< 문술미래전략대학원(건설및환경공학과 겸임) 김형준 교수 >

우리 대학 문술미래전략대학원(건설및환경공학과 겸임) 김형준 교수 연구팀이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과거 최대의 가뭄이 여러 해에 걸쳐 지속해서 발생하는 시점, 즉 세계의 각 지역에서 가뭄이 일상화되는 시점을 최초로 추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628일 판에 출판됐다. (논문명: The timing of unprecedented hydrological drought under climate change; doi:10.1038/s41467-022-30729-2) 

지구온난화에 대한 장기적인 대책을 검토하기 위해서 그 영향이 미래에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한 전망은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된다. 특히 종래의 통계치나 경험을 적용할 수 없게 되는 시기가 도래한다면 그 시점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KAIST, 동경대학교, 일본 국립환경연구원 등 7개국 13기관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 연구팀은 수치모델을 이용해 전 지구 하천유량의 미래 변화를 예측하고 가뭄이 일어나는 빈도를 조사함으로써 과거 최대의 가뭄이 수년에 걸쳐 일어나게 되는 이른바 `재난'이 일상화가 되는 시기를 세계 최초로 추정해냈다.

그림1 TFE (The Time of the First Emergence of regional unprecedented drought condition)의 개념도. 과거 141년간 (1865-2005)의 최대치를 가뭄 빈도의 지역 평균치가 x년 동안 연속적으로 초과하는 시기가 시작되는 시점을 TFEx라 정의하고 본 연구에서는 TFE5를 주된 지표로 이용했다.

< 그림1 TFE (The Time of the First Emergence of regional unprecedented drought condition)의 개념도. 과거 141년간 (1865-2005)의 최대치를 가뭄 빈도의 지역 평균치가 x년 동안 연속적으로 초과하는 시기가 시작되는 시점을 TFEx라 정의하고 본 연구에서는 TFE5를 주된 지표로 이용했다. >

TFE개념도 애니메이션

< TFE개념도 애니메이션 >

그림2 a) 탄소중립(RCP2.6)과 온난화 비대응(RCP8.5) 시나리오에 대한 금세기 중반의 (2036-2065년) 가뭄 변화에 (1971-2005년 기간 대비 [%]) 대한 공간 분포. b) 각 지역에서의 가뭄 발생 빈도 변화의 시나리오 및 다양한 수치 시뮬레이션에 따른 미래경로.

< 그림2 a) 탄소중립(RCP2.6)과 온난화 비대응(RCP8.5) 시나리오에 대한 금세기 중반의 (2036-2065년) 가뭄 변화에 (1971-2005년 기간 대비 [%]) 대한 공간 분포. b) 각 지역에서의 가뭄 발생 빈도 변화의 시나리오 및 다양한 수치 시뮬레이션에 따른 미래경로. >

연구 결과는 지중해 연안이나 남미의 남부 등 특정한 지역들에서 이번 세기 전반 혹은 중간쯤에 과거 최대의 가뭄이 적어도 5년 이상 연속적으로 넘어서는 시기를 맞이하고 과거로부터 지금까지의 기후에서 비정상 상태가 일상에서 빈번하게 일어날 확률이 높아짐을 보인다. 또한, 온실가스의 배출을 적극적으로 줄여나가더라도 어떤 지역에서는 십여 년 안에 이와 같은 `재난의 일상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시나리오(RCP2.6)의 경우에는 가뭄의 일상화 시점이 늦어지거나 계속되는 기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신 저자인 김형준 교수 연구팀의 유스케 사토 박사(문술미래전략대학원 연구부교수)"수자원 혹은 농업 분야의 기후변화 대책에는 보통 많은 시간이 요구되며 현재의 비정상이 일상화가 되기 전에 충분한 준비를 해두는 것이 중요하다ˮ고 말했다.


그림 3. 기후변화에 따라 “가뭄의 일상화”가 일어나는 (즉 TFE5) 시점. 수치모델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미래경로의 중간값을 표시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에만 표시.

< 그림 3. 기후변화에 따라 “가뭄의 일상화”가 일어나는 (즉 TFE5) 시점. 수치모델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미래경로의 중간값을 표시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에만 표시. >

김형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전 세계의 가뭄 발생의 미래경로에 있어서 탄소중립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특정 지역에서는 기후변화 대응과 더불어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적극적으로 준비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ˮ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P+)와 인류세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뉴스